69억 투자 광양 짚와이어, 7개월 만에 ‘적자난’으로 중단 위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수정 2025-07-22 14:44
입력 2025-07-22 13:40

7개월간 3910명 이용···예상치 5% 그쳐
운영업체 “6개월 동안 2억 적자”

이미지 확대
적자 누적으로 운영 7개월 만에 중단 위기에 놓인 광양 짚와이어 ‘섬진강 별빛 스카이’. 광양시 제공.
적자 누적으로 운영 7개월 만에 중단 위기에 놓인 광양 짚와이어 ‘섬진강 별빛 스카이’. 광양시 제공.


전남 광양시가 관광도시를 꿈꾸며 69억원을 들여 야심차게 조성한 체험형 관광시설 ‘섬진강 별빛스카이 짚와이어’가 개장 7개월 만에 운영 중단 위기에 놓였다. 운영을 맡은 위탁업체가 누적된 적자 등의 이유로 계약 해지를 요청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광양시 최초로 개장한 짚와이어는 해발 197.3m의 망덕산과 배알도 수변을 잇는 길이 898m의 라인 4줄 규모다. 당시 용역에서는 연간 5만 5000명의 이용객을 예측했지만, 실제 이용객은 7개월간 3910명에 그쳤다. 예측치의 5%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실적이다.

공사 시공업체인 D회사가 입찰을 받아 연 1억 5600만원의 위탁 수수료를 내는 조건으로 3년 계약을 했다. 하지만 회사측은 지난 5월까지 2억원의 적자를 입었다며 2년 5개월을 남겨놓고 운영 포기 의사를 밝혔다.

짚와이어가 설치된 망덕포구는 강풍과 돌풍이 잦아 사고와 안전성 우려도 운영 중단 요인으로 보인다. 지난 3월 장비 회수용 와이어가 늘어져 해수면 6m 기준으로 설치된 라인이 3m까지 내려오는 사고가 발생하고, 지난 4~6월 사이에는 253건의 미도착 사례도 있었다. 위탁업체는 이 같은 안전 문제와 함께 인건비 부담 등을 이유로 출발 지점의 모노레일 운행도 중단한 상태다.

계약서상 광양시가 귀책 사유 없는 대신 수탁자 사유로 해지될 경우 새 위탁업체가 선정되기 전까지는 기존 회사가 계속해야 한다는 조항에 따라 현재까지는 운영이 유지되고 있다. 시는 공유재산법에 따라 수수료 요금은 협의 대상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현재 시는 위탁 수수료가 과도하다는 업체의 주장을 받아들여 그동안의 운영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수료 재산정 용역에 들어갔다. 위탁료를 다시 정한 후 D회사를 배제하고, 운영업체를 새로 모집할 예정이다. 시는 또 짚와이어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풍속·풍향을 실시간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영 매뉴얼을 전면 재정비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수수료를 낮추고, 짚와이어 도착점이 있는 배알도에 시가 만든 캠핑장을 함께 묶어서 맡기는 등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것이다”고 밝혔다.

광양 최종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