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이탈리아 퇴역 항공모함 도입해 드론 항모로 쓰나 [최현호의 무기인사이드]

최현호 기자
수정 2025-09-27 14:43
입력 2025-09-27 14:43
이미지 확대
인도네시아가 도입을 희망하는 이탈리아 해군에서 퇴역한 항모 쥬세페 가리발디. 출처 이탈리아 해군
인도네시아가 도입을 희망하는 이탈리아 해군에서 퇴역한 항모 쥬세페 가리발디. 출처 이탈리아 해군


인도네시아가 퇴역한 이탈리아 항공모함을 도입해 드론 모함으로 전환할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 국방 매체 조나 밀리타는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조선업체인 핀칸티에리 대표단이 7월 15일과 1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방문하여 이탈리아 해군에 퇴역한 항공모함 쥬세페 가리발디를 드론 및 헬기 작전을 위한 플랫폼으로 개조하는 제안서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앞서, 2025년 3월에는 인도네시아가 무인항공기 관련 협력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쥬세페 가리발디를 도입하는 것에 관심을 보인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었다. 현재 쥬세페 가리발디는 2024년 10월 퇴역하여 예비함으로 전환된 상태다. 인도네시아는 이 함선에서 운용할 무인기로 튀르키예 바이카르 디펜스가 개발한 바이락타르 TB3를 고려하고 있고, 인도네시아 업체가 현지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바이락타르 TB3는 TB2를 기반으로 길어지고 접을 수 있는 날개, 강화된 착륙 장치를 갖추는 등의 개량이 더해진 기종으로, 스키점프대에서 발진할 수 있다. 2024년 11월 튀르키예 해군이 드론 모함으로 취역시킨 TCG 아나둘루에서 이착함 시험을 완료했다.

이미지 확대
쥬세페 가리발디는 앞이 약간 들린 스키점프대를 가지고 있다. 출처 이탈리아 해군
쥬세페 가리발디는 앞이 약간 들린 스키점프대를 가지고 있다. 출처 이탈리아 해군


쥬세페 가리발디는 1985년 이탈리아 해군의 대잠전 플랫폼으로 취역했다. 처음에는 헬리콥터만 운용했고, 나중에 AV-8B 해리어 II 단거리이륙 수직착륙(STOVL) 전투기를 탑재했다. 만재 배수량 14,150톤, 길이 180.2미터, 폭 33.4미터, 흘수 8.2미터이며, 전투기나 헬리콥터 기준으로 격납고에 최대 12대, 갑판에 추가로 6대를 배치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튀르키예 해군 TCG 아나둘루에서 이함 중인 바이락타르 TB3. 출처 바이카르 테크놀로지스
튀르키예 해군 TCG 아나둘루에서 이함 중인 바이락타르 TB3. 출처 바이카르 테크놀로지스


인도네시아는 쥬세페 가리발디 구입을 위해 4억 5000만 달러의 차관 도입을 승인했다. 이와 함께 신형 수송헬기 도입에 2억 5000만 달러, 다목적 헬기 도입에 3억 달러 차관도 승인했는데, 쥬세페 가리발디에서 운용될 가능성이 크다. 이번 차관 승인은 인도네시아의 최소 필수 전력(MEF) 프로그램 및 광범위한 해군 현대화를 위한 것이다. 함정과 헬기 패키지는 대잠작전, 재난 구호, 해상순찰, 무인기 통합을 위한 이동식 항공 허브 구축 의지를 나타내며, 인도적 지원 및 감시 같은 비전투 임무도 수행할 수 있다. 도입이 이루어진다면, 튀르키예, 중국 등을 시작으로 여러 나라가 추진하고 있는 드론 모함 운용에 있어 동남아시아 최초의 사례가 될 것이다.

최현호 군사 칼럼니스트 as3030@daum.net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