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것이 아닌데?…퍼서비어런스, 우주서 떨어진 운석 발견 [우주를 보다]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25-11-20 15:59
입력 2025-11-20 15:59
이미지 확대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발견한 운석인 ‘핍삭슬라’(Phippsaksla) 클로즈업 이미지. NASA/JPL-Caltech/ASU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발견한 운석인 ‘핍삭슬라’(Phippsaksla) 클로즈업 이미지. NASA/JPL-Caltech/ASU


미 항공우주국(NASA)의 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흥미로운 암석을 발견했다. 화성이 아닌 우주에서 날아온 암석이기 때문이다. 최근 NASA는 퍼서비어런스가 예제로 크레이터의 베르노덴 지역을 탐사하던 중 화성 표면에 있어서는 안 될 특이한 모양의 암석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발견한 운석인 ‘핍삭슬라’(Phippsaksla). NASA/JPL-Caltech/ASU
퍼서비어런스가 화성에서 발견한 운석인 ‘핍삭슬라’(Phippsaksla). NASA/JPL-Caltech/ASU


지름이 약 79㎝인 이 암석은 놀랍게도 화성이 기원이 아닌 운석으로 추정된다. 운석은 우주를 떠돌던 천체가 행성의 중력에 이끌려 표면에 떨어진 것을 말한다. 지구의 경우 대부분의 우주 암석은 대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폭발해 부서지는 데 반해 화성은 희박한 대기와 지질 활동이 활발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운석이 흔하다. 곧 화성의 고대 호수 바닥에서 생명체 흔적을 찾고 있던 퍼서비어런스가 지구에서는 귀한 운석을 우연히 발견한 셈이다. 이에 대해 NASA 측은 “퍼서비어런스의 슈퍼캠이 분석한 결과 화성 암석과 달리 철과 니켈이 많이 포함돼 운석으로 보인다”면서 “어디서 왔는지는 알 수 없다”고 밝혔다. NASA는 이 운석을 ‘핍삭슬라’(Phippsaksla)로 명명하고 관심 대상으로 분류했다.

이미지 확대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발견한 운석 ‘카카오’. NASA/JPL-Caltech/MSSS
큐리오시티가 화성에서 발견한 운석 ‘카카오’. NASA/JPL-Caltech/MSSS


사실 탐사 로보가 화성 땅에서 운석을 발견한 것은 여러 차례다. 특히 2023년 NASA의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Curiosity)가 발견한 운석 ‘카카오’(Cacao)가 유명하다. 샤프산 인근에서 발견된 카카오는 지름이 약 30㎝ 정도로 짙은 회색에 금속처럼 보여 쉽게 눈에 띄는 것이 특징이다. NASA는 표면이 둥그렇고 매끄러운 것이 화성의 대기를 통과했다는 것을 증명한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화성에서 임무 수행 중인 퍼서비어런스의 모습. NASA
화성에서 임무 수행 중인 퍼서비어런스의 모습. NASA




한편 퍼서비어런스는 2020년 7월 30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아틀라스-5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이후 204일 동안 약 4억 6800만㎞를 비행한 퍼서비어런스는 이듬해인 2021년 2월 18일 화성의 고대 삼각주로 추정되는 예제로 크레이터에 안착해 지난해까지 바닥을 샅샅이 훑어왔다. 이어 퍼서비어런스는 고도가 305m 정도인 크레이터 정상에 오른 후 현재는 주변 지역을 탐사하고 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