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판 F-35 뜨나?…스텔스기 Su-75 ‘체크메이트’ 내년 첫 비행 [밀리터리+]

박종익 기자
수정 2025-11-22 09:30
입력 2025-11-22 09:30
러시아가 개발 중인 5세대 스텔스 전투기 Su-75 ‘체크메이트’(Checkmate)가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 등 외신은 러시아 국영 통합 항공기 제작사(UAC) 산하 수호이 설계국이 개발한 Su-75가 내년 초 첫 번째 비행에 나설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Su-75 2021년 모스크바 에어쇼에서 처음으로 실물모형이 공개됐으며 당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직접 살펴보는 등 큰 관심을 받아왔다. 지난 18일 수호이의 수석 시험조종사인 세르게이 보그단은 러시아 TV와의 인터뷰에서 “Su-75의 첫 번째 시험 비행이 2026년 초로 예정되어 있다”면서 “이 기체는 이미 제작 단계에 있고 구체적인 일정도 마련되어 있다”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두 대의 시제기가 거의 완성 단계로 각각 지상 시험용, 비행 시험용으로 알려졌다.
Su-75는 단발 엔진 기반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로 미국의 F-35 전투기에 대한 저렴한 대안으로 꼽힌다. 그간 미국은 F-35를 앞세워 세계 전투기 시장의 주도권을 잡아 왔으며 러시아는 이를 견제할 마땅한 수출용 스텔스기가 없었다. 그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Su-75로, 러시아는 애초부터 수출 판매에 중점을 두고 개발을 진행해왔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Su-75를 ‘러시아판 F-35’라고도 부르고 있으며 가격도 3분의 1 정도로 추정된다.
보도에 따르면 Su-75의 특징과 사양은 매체에 따라 다소 엇갈리고 있으나 최대 속도 마하 1.8~2.0, 최대 항속거리는 약 3000㎞로 추정된다. 또한 공대공/공대지 미사일 및 각종 유도 폭탄을 운용하며 최대 7.4톤~8톤의 무장을 탑재할 수 있다. 여기에 인공지능(AI) 기반 조종 지원 시스템, 능동 위상 배열(AESA) 레이더 등 최신 항공전자 장비가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 군사 매체 디펜스 익스프레스는 “내년에 첫 비행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곧바로 양산이 시작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면서 “양산을 가로막는 핵심적인 문제는 수요가 적다는 것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 수출을 목표로 개발됐지만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더워존 역시 “국제 전투기 시장에서의 경쟁이 전반적으로 심화하고 있으며 중국이 J-35 스텔스 전투기를 앞세워 이 분야에서 두드러지고 있다”면서 “아직 비행조차 하지 않은 Su-75를 구매하려는 국가는 미국으로부터 제재받을 위험이 있다”고 분석했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