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요새 명품 사나?”…한때 잘나가던 ‘이 브랜드’ 매출 25% 급감, 왜?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수정 2025-07-30 13:55
입력 2025-07-30 13:55
이미지 확대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의 구찌 매장 전경.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뉴욕 맨해튼 5번가의 구찌 매장 전경. 로이터 연합뉴스


명품 브랜드 구찌를 소유한 프랑스 케어링 그룹이 매출 급감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전 세계 명품 시장 침체와 구찌 브랜드 자체의 매력도 하락이 겹친 결과라는 분석이다. 새로 취임할 최고경영자(CEO)에게는 부채 해결과 브랜드 회생이라는 막중한 과제가 주어졌다.

2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케어링의 주력 브랜드인 구찌의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급감한 14억 6000만 유로(약 2조 330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하락폭이다. 구찌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찌는 케어링 전체 매출의 절반, 영업이익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핵심 브랜드다.

구찌뿐만 아니라 케어링의 두 번째 주력 브랜드인 입생로랑도 이번 분기 매출이 10% 감소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4년 전 구찌가 인기를 잃기 시작한 이후 케어링의 실적이 악화됐다”며 “브랜드 회생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이런 부진이 케어링만의 문제는 아니다.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등 글로벌 명품 기업도 실적 악화에 시달리긴 마찬가지다. 전 세계적인 명품 수요 둔화가 업계 전체에 먹구름을 드리웠다.

실적 회복을 위해 케어링은 지난 3월 발렌시아가 출신 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를 구찌의 새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영입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담했다.

임명 발표 당일 케어링 주가는 10% 이상 급락했다. 바잘리아는 오는 2026년 초에 첫 컬렉션을 선보일 예정이다.

매출 부진과 함께 부채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순부채는 105억 유로(약 16조 8000억원)로 2022년 대비 4배 이상 늘었다.

이런 상황에서 오는 9월 새로 취임할 루카 데 메오 최고경영자(CEO)에게는 막중한 책임이 주어졌다. 데 메오는 자동차 회사 르노를 성공적으로 회생시킨 경험이 있는 경영 전문가다.

그는 케어링의 실적 개선과 부채 해결, 경영진 재편성이라는 삼중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또한 카타르 투자펀드가 보유한 발렌티노 지분 70%를 인수할지, 코티가 보유한 구찌 뷰티 라이선스를 되찾을지도 결정해야 한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