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충격’ 현실화… 이달 대미 수출 -14.2% 곤두박질

이영준 기자
수정 2025-08-11 23:48
입력 2025-08-11 18:17
협상 타결 이후 첫 수출입 현황
전체 수출액 작년보다 4.3% 감소반도체·車·선박 등 주력 품목 선전

뉴시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한미 관세 협상의 극적 타결 이후 집계된 첫 대미 수출 실적이 15%에 가까운 낙폭을 기록했다. 미국은 지난 7일부터 한국산 제품에 15%의 관세를 적용 중이며, 자동차 관세율에 대해서는 25%에서 15%로의 하향 조정에 합의했지만 아직 적용하지 않고 있다.
11일 관세청의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47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3% 줄었다. 지난해보다 하루 짧았던 조업 일수(7일)를 고려하면 9.3% 늘었다.
주력 수출 품목은 대체로 선전했다. 반도체 12.0%, 자동차 8.5%, 선박 81.3%씩 증가했다. 하지만 나머지 품목은 주저앉았다. 석유제품 19.4%, 철강제품 18.8%, 무선통신기기 4.5%, 자동차 부품 13.0%, 컴퓨터 주변기기 18.7%, 정밀기기 8.9%, 가전제품 42.7%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10.0%), 미국(-14.2%), 유럽연합(EU·-34.8%), 일본(-20.3%)으로의 수출이 부진했다. 대신 베트남(4.1%), 대만(47.4%), 싱가포르(162.5%)로의 수출은 늘었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전 세계 교역이 둔화하며 수출이 줄었다”면서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아직 관세가 0%여서 그런지 실적이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100% 관세를 예고했다. 한국이 EU와 같은 15%의 최혜국 대우를 받을 수 있느냐에 따라 대미 수출 실적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세종 이영준 기자
2025-08-1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