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절벽’에도…송파·성동·용산 아파트값은 올랐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수정 2025-11-20 17:15
입력 2025-11-20 17:15
이미지 확대
자료 한국부동산원
자료 한국부동산원


서울과 경기 12곳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이후 규제지역 일부에서 아파트값 오름폭이 확대됐다. 거래 절벽에도 ‘똘똘한 한 채’ 수요에 따라 선호지역 위주로 일부 거래가 높은 가격에 체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직전 주 대비 0.20% 올랐다. 10·15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 주(10월 20일 기준) 매매가 상승률이 0.50%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0.23%, 0.19%로 떨어지고, 직전 주에는 0.17%까지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다가 4주 만에 다시 확대됐다.

송파구(0.47%→0.53%), 성동구(0.37%→0.43%), 용산구(0.31%→0.38%), 양천구(0.27%→0.34%) 등 규제지역에서 오름폭이 확대됐다. 반면 노원구(0.01%→0.06%), 도봉구(0.03%→0.05%), 강북구(0.01%→0.02%), 금천구(0.02%) 등 서울 외곽지역의 상승 폭 확대는 상대적으로 낮은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가 감소하고 관망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위주로 상승거래가 체결되면서 서울 매매가가 전체적으로 상승했다”고 했다.

경기도 전체는 이번 주 0.11% 상승하면서 직전 주 0.10% 대비 상승 폭이 소폭 커졌지만 일부 지역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의왕시(0.08%→0.38%), 성남시 수정구(0.07%→0.29%)와 중원구(0.08%→0.14%), 광명시(0.16%→0.38%), 용인시 수지구(0.24%→0.42%) 등 규제지역 중 선호 지역에서의 오름폭이 커졌다. 특히 의왕시는 2021년 10월 넷째 주 0.39%를 기록한 이후 약 4년 1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비규제지역에서는 ‘풍선효과’의 대표 지역으로 꼽힌 화성시(0.25%→0.36%)의 상승 폭이 확대됐지만, 구리시(0.33%→0.24%), 용인시 기흥구(0.30%→0.12%) 등에서의 오름세는 둔화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