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는 회복하는데, 지산은 ‘바닥’...상업용 부동산 행보 양분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수정 2025-11-21 16:04
입력 2025-11-21 16:04
이미지 확대
상업용 부동산 분기별 매매지수. 알스퀘어 제공
상업용 부동산 분기별 매매지수. 알스퀘어 제공


오피스는 회복하고 지식산업센터(지산)은 정체하는 흐름으로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양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상업용 부동산 종합 서비스 기업 알스퀘어가 발행한 ‘2025년 3분기 오피스·지식산업센터 매매지수 리포트’에 따르면 서울·분당 오피스 매매지수는 올 3분기 504.3포인트로 전 분기 대비 1.5% 상승했다. 2001년 1분기(100포인트) 대비 5.04배 수준이다. 2022년 고점 이후 이어졌던 가격 정체 국면을 벗어나 회복 흐름에 진입한 것으로 분석된다.

거래 규모도 정상화 조짐을 보인다. 올해 연초부터 3분기까지 누적 오피스 거래금액은 15조 1000억원으로, 2023년 저점(9.6조원) 대비 뚜렷한 반등세를 보였다. 지난해(13조 5000억원)에 이은 2년 연속 성장세로,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거래가 회복되는 모양새다.

반면, 올 3분기 지산 매매지수는 192.2포인트로 전 분기 대비 1.5%, 전년 동기 대비로는 6.8% 하락했다. 2022년 2분기 고점 대비 약 25% 하락한 뒤 ‘바닥권 정체’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알스퀘어는 지산 가격 조정의 배경에 대해 “2020~2022년 저금리·주택규제 환경 속에서 소액 투자 수요가 몰리며 형성됐던 과열 분위기가 해소되는 과정”이라고 했다.

오피스 매매 시장은 2021년 초저금리 기조 속 20조 원 이상 거래되며 역대급 호황을 보였지만, 금리 인상기에 접어든 2022~2023년에는 급격히 위축됐다. 이번 3분기 리포트는 금리 인하 기대와 임대시장 안정성이 맞물리며 오피스가 가장 먼저 거래 정상화에 나선 것으로 판단했다.

금리와 매매가격의 구조적 관계도 확인됐다. 리포트에 따르면 금리와 오피스 매매가격의 장기 상관계수는 -0.62로 비교적 강한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반면, 지산은 금리보다 투자심리와 규제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조정 이후 회복 속도도 더딘 모습을 보였다.



류강민 알스퀘어 리서치센터장은 “오피스 시장은 가격과 거래 모두에서 회복 신호가 명확해 상승 흐름이 점진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지산에 대해서는 “고점 대비 큰 폭의 조정을 거친 뒤 바닥권에 머무르는 추세다. 단기 반등보다는 보수적 접근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