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지키고 상생하고… ‘ESG 진심’ 네이버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수정 2025-07-18 00:31
입력 2025-07-18 00:31
이미지 확대
네이버가 2023년 11월 가동을 시작한 데이터센터 ‘각 세종’ 전경. 각 세종의 서버실은 자연 바람으로 24시간 냉각되며 서버실에서 배출된 열기를 온수 공급, 스노 멜팅 시스템 등에 사용한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2023년 11월 가동을 시작한 데이터센터 ‘각 세종’ 전경. 각 세종의 서버실은 자연 바람으로 24시간 냉각되며 서버실에서 배출된 열기를 온수 공급, 스노 멜팅 시스템 등에 사용한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는 국내 IT·플랫폼 산업의 선두 주자로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위한 체계 구축에 적극적이다. 친환경 가치 확산, 소상공인과의 동반성장 노력, 네이버 커넥트재단을 통한 미래 인재 양성 등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네이버는 우선 ‘ESG 7대 전략’ 중 하나로 ‘온실가스 관리 및 재생 에너지 확대’를 포함해 에너지 절감과 자원 순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1년 7월 말부터 글로벌 최대 규모이자 높은 신뢰도를 갖춘 CDP(탄소정보 공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환경 부문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자체 데이터센터 ‘각 춘천’과 ‘각 세종’은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설계됐으며, 재생 에너지와 자체 개발한 공조 시스템 등을 활용하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있다. 각 세종의 서버실은 자연 바람으로 24시간 냉각되며, 서버실에서 배출된 열기를 온수 공급, 스노 멜팅 시스템 등에 사용해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네이버는 2023년 기준 총 1만 6809t CO2e 분량의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했다. 이 중 재생에너지 사용과 전자문서 등을 통해 절감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4537t CO2e에 이른다. CO2e는 탄소 발자국의 단위로 온실가스를 CO2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또 소상공인과 함께 성장하는 네이버만의 철학을 서비스 전반에 녹이는 한편, 다양한 파트너들과 협력하며 상생을 이어오고 있다. 다음달 15일까지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의 상생 전용관 ‘나란히가게’에서 디지털상공인 연합 기획전을 진행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엔 소상공인연합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소상공인 발굴과 성장 지원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2011년 설립한 비영리 교육기관 커넥트재단을 통해 초등학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소프트웨어 교육을 진행하며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민나리 기자
2025-07-18 4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