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군 전차가 2025년 9월 3일(현지시간) 가자지구 인접 남부 국경 장벽을 따라 이동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가자시티 공세를 앞두고 지난 2일부터 예비군 소집령을 본격화하며 병력 증강에 나섰다. AFP 연합뉴스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휴전 수용 의사를 거절했다. 가자시티 공세도 계속 추진하겠다고 못 박았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3일(현지시간) 하마스가 이집트와 카타르 등 중재국이 제시한 60일 휴전안을 받아들이겠다고 밝히자 “새로운 것이 전혀 없는 선전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총리실은 모든 인질이 석방되고 하마스가 무장 해제되며 가자지구가 비무장화되고 이스라엘이 안보 통제권을 확립하고 대체 민간 행정기구가 수립될 때까지 전쟁을 끝내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TOI)은 하마스가 “생존 인질 10명과 일부 시신 송환을 포함한 60일 휴전에 동의한다”며 전쟁 종식을 위한 포괄적 합의에도 임하겠다고 보도했다. 합의안에는 모든 인질 석방과 일정 규모의 팔레스타인 수감자 교환, 이스라엘군 완전 철수, 국경 개방, 가자 재건 착수가 포함돼 있다. 하마스는 가자 통치를 위해 기술관료로 구성된 독립적 행정기구도 세우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025년 8월 10일 예루살렘 총리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UPI 연합뉴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하마스의 제안은 또 다른 기만적 선전일 뿐”이라며 거부 입장을 고수했다. 이스라엘 카츠 국방장관도 “하마스가 조건을 수용하지 않으면 가자시티를 라파와 베이트하눈처럼 잿더미로 만들겠다”고 경고했다.
하마스 내부 통제 논란
이미지 확대
하마스 단속대가 2025년 9월 초 가자지구 칸 유니스에서 현금 결제를 거부한 상인들을 곤봉으로 폭행하는 장면. 은행 폐쇄와 화폐 훼손으로 현지에 현금 부족 사태가 이어지자 하마스는 “위조가 아니면 모든 지폐와 동전을 받아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출처=엑스
TOI는 최근 가자지구에서 하마스 단속조가 현지 상인들을 곤봉으로 폭행하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확산됐다고 전했다. 상인들이 낡은 지폐와 동전 수취를 거부하자 하마스가 무력으로 강제했다. 은행이 문을 닫고 화폐가 훼손되자 하마스는 “위조가 아닌 현금은 어떤 상태라도 반드시 받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이스라엘군 내부도 우려
이미지 확대
에얄 자미르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이 2025년 9월 2일(현지시간) 가자시티 공세 대비 예비군 소집에 따라 나흐쇼님 기지를 찾은 장병들에게 연설하고 있다. 이스라엘군 제공
이스라엘군 내부에서도 가자시티 공세의 실효성을 두고 의문이 제기됐다. TOI는 국방위원회 비공개회의에서 한 군 관계자가 “가자시티를 점령해도 하마스가 굴복할지는 확실치 않다. 도시가 상징적 의미를 가질 뿐”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현재 약 80만 명의 민간인이 여전히 가자시티에 남아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앞서 현지 채널12 방송은 에얄 자미르 이스라엘군 참모총장이 “가자시티를 점령하면 11월부터 가자 전역에 군정을 시행하겠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자미르는 휴전 협상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지만 정부 지침에 따라 작전 명령은 실행하겠다고 밝혔다.
야이르 라피드 야당 대표는 “정부가 하마스의 조건을 모두 수용할 필요는 없지만 인질 귀환 협상에는 즉각 복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태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