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쇄빙선이 5척이나…美 알래스카 인근 북극해역에 동시 출현 [핫이슈]

박종익 기자
박종익 기자
수정 2025-08-11 15:31
입력 2025-08-11 15:31
이미지 확대
최근 미국 해안경비대에 포착된 중국의 쇄빙선 모습. USCG 제공
최근 미국 해안경비대에 포착된 중국의 쇄빙선 모습. USCG 제공


중국과 러시아의 북극 지역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무려 5척의 중국 쇄빙선이 미국 알래스카 인근 해역에 나타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 군사 전문 매체 더워존 등 현지 언론은 미군과 해안경비대가 알래스카 인근 북극 지역에 출현한 중국 쇄빙선 5척을 감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부분 연구용 선박으로 알려진 중국 쇄빙선은 최근 알래스카 인근에 자주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북극항로와 자원을 둘러싼 각국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에 대해 북미방공사령부(NORAD)는 “해당 선박들이 국제 해역에서 운항 중이며 국토방위의 위협으로 간주하지는 않지만 지난 몇 년보다 눈에 띄게 증가한 수치”라면서 “해당 지역을 운항하는 선박들의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 중”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말에도 미 해안경비대는 성명을 통해 “중국 쇄빙선 쉐롱(Xue Long) 2호가 알래스카 우트키아그비크에서 북쪽으로 약 290해리(약 537㎞) 떨어진 지점, 미국 대륙붕에서 발견됐다”면서 “코디악 공군기지 소속 장거리 정찰기인 C-130J 허큘리스가 출동해 대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처럼 현재 북극 지역과 항로는 해상운송의 새로운 미래이자 해수면 아래 막대한 양의 광물과 에너지 자원이 잠자고 있어 미국과 러시아, 중국의 새로운 각축장이 되고 있다. 곧 각국이 쇄빙선을 앞에서 이 지역에서 세력을 과시하고 있는 셈. 그러나 사실상 조선산업이 붕괴한 미국으로서는 이에 대한 대응이 크게 부족한 상황이다.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는 50여 척, 중국은 최소 5척의 쇄빙선을 보유하고 있지만, 미국은 북극에서 운항할 수 있는 것은 단 2척에 불과하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알래스카 LNG 개발 프로젝트를 본격화하면서 대형 쇄빙선 40척 발주 계획을 세워놓은 상황이다.

이미지 확대
미 해안경비대가 보유한 쇄빙선 USCGC 힐리.
미 해안경비대가 보유한 쇄빙선 USCGC 힐리.


북극항로는 기후변화로 북극의 해빙(海氷) 면적이 축소되면서 새롭게 열리는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새로운 해상 실크로드다. 미국은 북극항로가 열리면 알래스카와 그린란드가 연결돼 미국과 동아시아, 유럽이 연결된다. 우리나라 역시 북극항로를 이용해 유럽으로 가면 기존항로보다 운항 거리는 30% 짧아지고, 운항 기간도 10일 정도 단축된다.

박종익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