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고공행진… 먹거리 지출 9년 만에 최저치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9-02 00:06
입력 2025-09-02 00:06
2분기 실질 소비지출 1.0% 줄어
이상기후·가공식품값 인상 영향

연합뉴스
가구의 먹거리 지출이 9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앉았다. 폭염과 폭우 등 이상기후와 가공식품 가격 인상이 맞물려 먹거리 물가가 장기간 고공행진한 결과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 식료품·비주류음료 명목 소비지출은 월평균 42만 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8% 늘었다. 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은 34만 1000원으로 1.0% 쪼그라들었다. 먹거리 지출 자체는 늘었지만 물가 상승분을 고려하면 되레 줄었다는 뜻이다.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9년 이후 2분기 기준 최소치다. 다른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된 2019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9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지난해 연말 고환율에 따른 수입 물가 상승으로 식품 업계가 출고가를 잇달아 인상하면서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았다. 식료품·비주류음료는 전체 소비지출의 14%를 차지하는 주요 지출 항목이다.
2분기 식료품·음료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9%였다. 2020년 1분기부터 5년 넘게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돌고 있다. 물가 상승이 누적되면서 올해 2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125.33(2020년=100)까지 올랐다. 전체 물가지수 116.32를 크게 웃돌았다.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먹거리 실질 지출은 2023년 4분기부터 4개 분기 연속 줄었다가 지난해 4분기 1.8% 늘며 플러스로 돌아섰다. 하지만 2분기부터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통상 음식점 소비가 크게 뛰면 식료품 소비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2분기엔 가구 식사비 실질 지출은 35만 3000원으로 0.2% 늘어나는 데 그쳤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식료품은 필수 소비재라서 지출을 줄이기 어려운 품목이지만,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부식 소비를 절제하고 주식은 가성비 소비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9-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