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에너빌리티 장영실상 수상… 핵분열 제어봉 구동장치 노즐 국산화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수정 2025-11-21 18:57
입력 2025-11-21 18:57

두산에너빌, 610억원 수주 실적
가격 20% 내리고, 납기 절반으로

이미지 확대
지난 20일 서울 강남구 더 리버사이드 호텔 서울에서 열린 ‘IR52 장영실상’ 시상식에서 송용진(가운데)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김영득(왼쪽) 수석, 이민복(오른쪽) 수석이 수상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 11. 21.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지난 20일 서울 강남구 더 리버사이드 호텔 서울에서 열린 ‘IR52 장영실상’ 시상식에서 송용진(가운데)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김영득(왼쪽) 수석, 이민복(오른쪽) 수석이 수상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 11. 21. 두산에너빌리티 제공


두산에너빌리티가 자체 개발한 ‘핵분열 제어봉 구동장치 노즐’(CEDM 노즐)로 지난 20일 IR52 장영실상을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IR52 장영실상은 기업의 기술혁신 성과를 포상하는 제도다.

CEDM 노즐은 원자로 헤드에 부착돼 핵분열을 조절하는 제어봉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움직이도록 돕는 핵심 부품이다. 제어봉을 원자로에 넣고 빼면서 출력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제어봉의 이탈을 막고 정상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부품은 그간 해외 소수 기업이 독점 생산해 국내 원전 업계는 전량 수입에 의존해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소재기술개발팀 김영득 수석을 주축으로 연구원과 사업부가 긴밀히 협력해 45개월 만에 CEDM 노즐 국산화에 성공했다. 해외 경쟁사 제품과 동일 품질을 유지하며 가격은 20%, 납기는 절반으로 낮췄다. 이런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2년 교체사업, 2023년 신규사업 등 현재까지 약 610억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송용진 두산에너빌리티 전략·혁신 부문 사장은 “확보한 핵심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과도 공유해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소형모듈원전(SMR) 등의 분야로 기술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