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절반 “청년 채용 1순위는 전문성”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수정 2025-11-18 16:02
입력 2025-11-18 15:59

전문성이 청년 채용의 첫 기준으로 부상
전문성 평가, 전공·인턴 경험이 결정적

이미지 확대
지난 10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2025 부산청년 글로벌 취업박람회에서 청년구직자들이 현장 면접과 상담하고 있다. 부산 연합뉴스
지난 10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2025 부산청년 글로벌 취업박람회에서 청년구직자들이 현장 면접과 상담하고 있다. 부산 연합뉴스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의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노동부가 18일 발표한 ‘2025년 기업 채용동향조사’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응답한 396곳 가운데 52.8%가 청년 채용 기준 1순위로 전문성을 꼽았다. 소통·협력 능력(34.3%), 도전정신(26.0%), 책임감(15.4%)이 뒤를 이었다.

전문성을 평가할 때 기업이 가장 중시한 항목은 전공(22.3%)이었다. 이어 인턴 경험(19.1%), 직무 관련 훈련(17.4%)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전공뿐 아니라 실제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경험이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의 85.4%는 인턴 등 일·경험이 입사 후 조직 적응과 직무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일·경험을 평가할 때는 ‘채용 직무와의 관련성’(84.0%)을 가장 중요하게 봤다. 뒤이어 ‘경험을 통해 낸 성과’(43.9%), ‘경험이 있었는지’(39.5%) 순이었다.

청년 재직자 309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취업에 도움이 된 요소로 전공(30.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격증(18.4%), 인턴 경험(18.2%)이 뒤를 이었다. 기업과 청년 모두 ‘전공 적합성’과 ‘실무 경험’을 취업 성공의 핵심 조건으로 본 셈이다.

청년 10명 중 8명(80.2%)은 일·경험이 현재 업무 수행이나 직장 적응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일·경험을 쌓을 회사를 고를 때도 ‘직무와의 연관성’(33.2%)과 ‘직무를 직접 해볼 수 있는지’(22.4%)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일·경험 기회를 늘리기 위해 ‘참여 기업 확대 및 지원 강화’(38.1%), ‘프로그램 질 관리’(23.5%), ‘일·경험과 채용의 연계 강화’(17.7%)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청년들은 ‘참여 기업 확대’(24.5%), ‘프로그램 다양화’(21.2%), ‘프로그램 질 개선’(20.0%) 순으로 응답했다.

유승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