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절반 “청년 채용 1순위는 전문성”

유승혁 기자
수정 2025-11-18 16:02
입력 2025-11-18 15:59
전문성이 청년 채용의 첫 기준으로 부상
전문성 평가, 전공·인턴 경험이 결정적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의 ‘전문성’을 가장 중요하게 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고용노동부가 18일 발표한 ‘2025년 기업 채용동향조사’에 따르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응답한 396곳 가운데 52.8%가 청년 채용 기준 1순위로 전문성을 꼽았다. 소통·협력 능력(34.3%), 도전정신(26.0%), 책임감(15.4%)이 뒤를 이었다.
전문성을 평가할 때 기업이 가장 중시한 항목은 전공(22.3%)이었다. 이어 인턴 경험(19.1%), 직무 관련 훈련(17.4%)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전공뿐 아니라 실제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무 경험이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의 85.4%는 인턴 등 일·경험이 입사 후 조직 적응과 직무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일·경험을 평가할 때는 ‘채용 직무와의 관련성’(84.0%)을 가장 중요하게 봤다. 뒤이어 ‘경험을 통해 낸 성과’(43.9%), ‘경험이 있었는지’(39.5%) 순이었다.
청년 재직자 309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났다. 취업에 도움이 된 요소로 전공(30.2%)을 가장 많이 꼽았고 자격증(18.4%), 인턴 경험(18.2%)이 뒤를 이었다. 기업과 청년 모두 ‘전공 적합성’과 ‘실무 경험’을 취업 성공의 핵심 조건으로 본 셈이다.
청년 10명 중 8명(80.2%)은 일·경험이 현재 업무 수행이나 직장 적응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일·경험을 쌓을 회사를 고를 때도 ‘직무와의 연관성’(33.2%)과 ‘직무를 직접 해볼 수 있는지’(22.4%)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일·경험 기회를 늘리기 위해 ‘참여 기업 확대 및 지원 강화’(38.1%), ‘프로그램 질 관리’(23.5%), ‘일·경험과 채용의 연계 강화’(17.7%)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청년들은 ‘참여 기업 확대’(24.5%), ‘프로그램 다양화’(21.2%), ‘프로그램 질 개선’(20.0%) 순으로 응답했다.
유승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