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에 클라크·데보레·마티니스…거시적 양자현상 발견 공로

김성은 기자
수정 2025-10-07 21:42
입력 2025-10-07 19:06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양자역학 분야를 개척한 존 클라크, 미셸 데보레, 존 마티니스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거시적 양자역학적 터널링과 전기회로 내 에너지 양자화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을 202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노벨위원회는 “수상자들은 일련의 실험을 통해 양자 세계의 기묘한 특성이 손에 쥘 수 있을 만큼 큰 시스템에서도 실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이들이 개발한 초전도 전기 시스템은 마치 벽을 통과하듯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터널링하는 현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시스템이 양자역학의 예측대로 특정 크기 단위로 에너지를 흡수하고 방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는 원자 수준에서 나타나던 양자역학 법칙이 일상적 크기의 장치에서도 구현 가능함을 증명한 것으로, 양자컴퓨터 등 차세대 양자 기술 개발의 핵심 토대를 마련한 성과다.
클라크 교수는 “내 인생의 놀라운 일”이라며 “우리의 발견은 어떤 면에서 양자컴퓨팅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다만 “당장 어디에 적용될지는 불확실하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세 수상자는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 4000만원)를 균등하게 나눠 받는다.
노벨상 발표는 전날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이날 물리학상으로 이어졌다. 이후 화학상(8일), 문학상(9일), 평화상(10일), 경제학상(13일) 순으로 수상자가 공개된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