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나고 빛이 번지고… 돌, 숨을 쉰다

윤수경 기자
수정 2025-11-20 00:51
입력 2025-11-20 00:51
조각가 박은선 개인전 ‘치유의 공간’
“틈과 균열이 제게는 숨통입니다. 꽉 막힌 것에 신선한 생명의 공기를 불어넣듯 말입니다”
켜켜이 쌓아 올린 매끈한 두 가지 색 대리석에 단층처럼 균열이 가 있다. 조각가 박은선(60)은 그 지점이 자신의 ‘숨통’이라고 말한다. 절단하고 잇는 행위를 통해 작가는 견고했던 돌을 생명체처럼 숨 쉬게 만든다. 깨진 틈새에 바람이 들고 빛이 새어 나온다.
서울 종로구 가나아트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박은선의 개인전 ‘치유의 공간’은 돌이라는 고전적인 재료가 얼마나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될 수 있는지 보여 주는 전시다. 대표작 ‘무한 기둥’부터 3m 30㎝ 높이의 신작 ‘생명-진화’까지 조각 22점·회화 19점을 선보인다.
그의 손길이 닿은 돌에서는 빛이 번져 나오고 소리가 난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구상한 ‘무한 기둥-확산’ 연작은 매끈한 표면의 대리석 구(球)가 알알이 매달려 기둥을 이루고 색색의 빛을 내는 작품이다. 돌 속을 파내 8㎜ 두께로 얇게 만든 다음 그 안에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설치해 대리석이 가진 고유의 색을 표현해 냈다. 은은하게 흘러나오는 빛은 사람과 사람이 다시 만나는 희망의 확산을 의미한다. 292개 구를 와이어에 매달아 큐브 형태로 배열해 놓은 작품인 ‘큐브’는 관람객의 개입을 유도한다. 조각을 밀면 돌과 돌 사이가 부딪치며 소리를 낸다. 돌을 다듬는 과정에서 울려 나오는 소리를 조각의 일부로 끌어들인 것이다.
전남 목포에서 태어난 박은선은 1993년 이탈리아로 건너가 ‘조각의 성지’라고 불리는 피에트라산타에서 32년 동안 머물며 작업해 왔다. 작가는 위태로우면서도 균형미가 느껴지는 ‘생명-진화’와 본인의 이탈리아 생활을 견줬다. 그는 “편안하고 안정된 길보다 전업 작가로서 조각의 본고장에서 승부를 보고 싶었다”며 “벼랑 끝에 서 있는 것 같은 불안함 속에서 살았지만 결국 서 있었고 살아남는 작업을 해 왔다”고 말했다.
올해 5월에는 한국 작가로서는 최초로 피에트라산타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미술관 ‘아틀리에-뮤지엄 박은선’을 개관했다. 내년 10월에는 전남 신안 자은도에 세계적인 건축가 마리오 보타와 협업한 인피니또뮤지엄을 선보일 예정이다.
“10년 후의 내 모습을 그리며 작업하기 때문에 급하지 않아요. 그래서 당장 뭐가 안 돼도 그냥 합니다. 그렇게 30여년을 달려왔고 앞으로도 운이 좋으면 또 그렇게 30년을 달리겠죠. 지켜봐 달라고 감히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전시는 내년 1월 25일까지.
글·사진 윤수경 기자
2025-11-2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