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 키우는 진단의 덫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수정 2025-11-21 00:17
입력 2025-11-21 00:17

진단의 시대/수잰 오설리번 지음/이한음 옮김/까치/364쪽/2만 2000원

이미지 확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자폐증, 만성 증후군 등 수많은 질환이 현대인을 괴롭히고 있다. 이는 우리의 일상적인 대화 주제이기도 하다. 그러나 첨단 과학의 발전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늘어날수록 과잉 진단도 증가하고 있다.

30년 넘게 환자들을 진료해 온 신경과 의사인 저자는 “진단을 둘러싼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고 점점 정상의 범위가 축소되고 비정상의 범위는 확장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의학 진단은 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내리지만 진단의 기준이 되는 정확한 수치는 사회적 합의로 결정된다. 이에 따라 질병의 정의를 확장함으로써 사람들이 불필요한 치료를 받게 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혈당이 가장 대표적이다. 당뇨병 전 단계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혈당 수치를 조금만 조정해도 많은 사람이 하루아침에 갑자기 당뇨병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내몰린다.

50년 전에는 자폐증을 앓는 사람이 1만명 중 4명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세계 평균이 100명 중 1명으로 증가했다. 처음에는 아동에게 내려지던 진단이 최근 몇 년 전부터는 성인에게도 내릴 수 있게 되면서 경증 ADHD와 성인에 대한 ADHD 진단이 크게 증가했다.

암 선별 검사는 생명을 구하지만 최근 유전자 검사가 증가하면서 질병을 조기에 뿌리 뽑겠다는 열정이 과한 나머지 불필요한 치료를 받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책에는 자신에게 유방암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수술에 대한 정보도 부족한 상태에서 유방 절제 수술을 받기로 결단을 내린 한 여성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저자는 “우리가 너무 완벽한 건강에 몰두하고 있는지 돌아봐야 한다”면서 “과잉 진단을 피하고 좋은 의료 서비스를 누리기 위해서는 개인은 물론이고 의료계, 사회 전반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은주 기자
2025-11-21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