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앞, 타인의 뒷모습까지 품는 공간

윤수경 기자
수정 2025-11-21 00:17
입력 2025-11-21 00:17
아무튼, 미술관/이유리 지음/제철소/176쪽/1만 2000원
제철소 제공
위고, 제철소, 코난북스 세 출판사가 함께 ‘생각만 해도 좋은 한 가지’를 주제 삼아 에세이집으로 엮는 ‘아무튼’ 시리즈가 여든 번째 책으로 찾아왔다. 미술 대중화에 앞장서 온 이유리(45) 작가가 쓴 ‘아무튼, 미술관’이다.
유년 시절 부모의 잦은 싸움과 폭력 속에서 명화를 스크랩해 ‘나만의 미술관’을 만들던 작가는 ‘나니아 연대기’ 속 환상의 통로가 옷장이었다면, 자신에게는 미술관이 있었다고 고백한다. 작가는 미술관이 선사한 잊지 못할 순간들을 독자와 공유하고 그 안에서 위로받고 성장하게 된 사연을 들려준다.
“내게는 바로 그림이 나를 내 삶의 구획선 밖으로 인도해 주는 마법의 옷장이었던 셈이다. 그 옷장 속에서 나는 비로소 등에 칼처럼 꽂혀 있던 긴장과 불안을 하나하나 뽑아낼 수 있었다.”
작가에게 미술관은 ‘동아줄’이었으며 ‘기다림의 미학을 알려 주는 공간’이자 ‘혼자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는, 일종의 자궁 같은 공간’이다. 작가는 무엇보다 미술관은 타인의 뒷모습까지 품는 공간이며 아름다움으로 가는 길을 열어 주는 초청자와 같다고 말한다.
작가는 독자에게 적극적으로 미술관을 권하며 그 문턱을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 이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다시 해석하는데, 오히려 공부하고 가면 딱 그만큼만 보일 확률이 높다고 말한다. 그래서 “나만의 독자적인 시각으로 공부한 것 너머의 메시지를 읽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칠 가능성이 크다”고 조언한다. 기본기가 없어도 “미술관이라는 바다로 뛰어들어 온몸을 적셔야 ‘나만의 방식’으로 작품과 만날 수 있다”는 게 작가의 생각이다.
또 “자주 그림을 보다 보면 어느 순간 시야가 트이며 어느 순간 공통의 패턴이 눈에 들어오고 그림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자연스레 감지하게 된다”고 소개한다. 간혹 불편함을 주는 작품을 만날 수도 있는데 작가는 이 순간이 되레 스스로를 되돌아볼 기회가 된다고 이야기한다.
여기에 먼저 건축과 미술의 기존 작업 관계를 깨부순 마크 로스코의 사연부터 이십 대에 구불구불 얽혀 있는 뱀을 그려 냈던 천경자의 사연까지 곁들여 독자의 관심을 끌어당긴다.
이 책의 매력은 미술관이라는 공간, 작품의 감상에만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작가의 더듬이는 작품을 담은 액자부터 굿즈, 전시 이후 나오는 폐기물까지 뻗어 나간다.
윤수경 기자
2025-11-2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