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절반에 ‘소멸 그림자’… RDI로 위기 속 기회 찾아내야” [사라진 인구, 다시 채우는 미래]

옥성구 기자
수정 2025-06-24 23:26
입력 2025-06-24 18:17
심재헌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지역발전지수로 지역 실태 파악강약점 정밀 진단해 맞춤형 정책
현안 명확히 판단하는 ‘도구’ 활용

홍윤기 기자
“전국 시군구 지역 226곳 중 절반인 113곳에 ‘소멸의 그림자’가 덮여 있습니다. 하지만 지역 맞춤형 정책을 펼친다면 그 미래도 바꿀 수 있습니다.”
심재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24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인구포럼’에서 한국의 지역 위기와 미래에 대해 이렇게 진단했다.
그는 고령화와 저출생, 청년 유출을 지역 소멸의 원인으로 꼽고 지역의 위험 실태를 지역발전지수(RDI)로 제시했다. RDI는 지역의 발전 수준과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4개 부문 21개 지표를 종합해 도출한 지수다. RDI를 구현한 지도에서 지역 발전 하위는 전남과 경북, 강원의 군 지역에 집중됐다. 이 지역들은 생활 서비스와 경제력, 활력에서 모두 취약했다. 인구 고령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 연구위원은 “RDI는 ‘위험의 지도’이나 ‘희망의 지도’이기도 하다”고 했다. RDI를 통해 지역 현안을 명확히 판단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전남 영광군은 최근 10년간 RDI가 30계단 이상 올랐는데 청년 유입과 인구 증가율 회복으로 주민활력지수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영광군은 보육·의료 인프라 유치와 부모 급여 지원 등으로 합계출산율을 지난해 1.71명까지 끌어올리며 6년 연속 합계출산율 전국 1위를 기록했다. 충북 단양군은 녹지가 많은 점을 살려 녹지 휴양 공간을 늘렸고 힐링 도시로 인증받으며 RDI의 ‘삶의 여유 공간’ 평가에서 전국 3위를 달성했다.
심 연구위원은 “RDI가 지역의 강점·약점을 정밀 진단해 지역 맞춤형 정책을 펼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미래도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옥성구 기자
2025-06-25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