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 낳을 때마다 1억·셋째 땐 무상 임대주택 파격 지원[사라진 인구, 다시 채우는 미래]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수정 2025-06-24 23:27
입력 2025-06-24 23:27

부영그룹 일·가정 양립 지원

정부도 출산장려금 전액 비과세
작년 아이 28명 태어나 효과 톡톡
이미지 확대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인구포럼에서 박현순 부영그룹 전무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홍윤기 기자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인구포럼에서 박현순 부영그룹 전무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홍윤기 기자


부영그룹이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파격적인 출산장려금 제도를 도입했다. 직원이 자녀를 출산할 때마다 1억원을 지급하는 제도로,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고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박현순 부영그룹 전무는 24일 서울신문 인구포럼에서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한 시점”이라며 “부영그룹은 지난해부터 직원 자녀 1명당 1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출산율 증가와 직원들의 가정생활 지원을 목표로 한다”고 설명했다.

부영그룹은 2021~24년 자녀를 출산한 직원들에게 총 98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원했다. 또 출산장려금 기부 면세 제도를 제안해 직원들이 1억원의 출산장려금에 대한 세금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했다. 1억원의 출산장려금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되면 직원들은 약 3800만원의 세금을 내야 한다. 이에 정부는 해당 출산장려금에 대해 기부자와 직원에게 모두 비과세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이 제도 이후 사내 출산율도 늘었다. 제도가 시행된 지난해 부영그룹에서는 28명의 아이가 태어났다. 2021~2023년 평균 연 23명의 아이가 태어난 점을 고려하면 출산장려금 효과가 증명된 셈이다. 박 전무는 “셋째를 낳으면 영구 임대주택도 무상 공급받는다. 7년 만에 둘째를 낳은 직원 등 사내에서 장려금 효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다”며 “이 제도가 기업과 지방자치단체들의 참여를 끌어내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손지연 기자
2025-06-2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121년 역사의 서울신문 회원이 되시겠어요?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