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년? 자비로 가세요” 대학 재정난에 쪼그라드는 연구년[에듀톡]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김지예 기자
수정 2025-09-06 09:00
입력 2025-09-06 09:00

전임 교원 채용 줄면서 ‘눈치 싸움’
논문 조건 높이고 대체 강사비 분담
“연구·강의의 질 떨어질 것” 우려도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부산의 A사립대는 최근 교수들이 연구에 집중하는 기간인 연구년(안식년) 심사를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보통 근속 6~7년을 채우면 신청 자격이 주어지는데, 조건에 ‘SCI·SSCI급의 권위 있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안을 검토했다. A대 소속 교수는 “논문 실적을 강조하는 분위기가 강하니 학교가 연구년에 성과 조건을 추가한 것”이라며 “연구년을 쓰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학문 발전을 취지로 대학교수들에게 강의 없이 연구 시간을 보장하는 연구년 제도를 축소하는 대학들이 나오고 있다. 학생 수 감소에 따른 대학 재정 악화로 교원 채용이 줄어든 데 따른 ‘허리띠 졸라매기’의 단면이다. 대학가에서는 “연구 시간 부족은 결국 대학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연구년은 통상 3~6년 이상 근무한 정년트랙 전임교원에게 6개월~1년간 주어진다. 교수들이 연구 주제를 잡고 활동 계획 등을 제출하면 학과와 대학 본부가 심사를 통해 승인한다. 이 과정에서 대학들이 연구년 이후 논문 제출 요건을 강화하거나, 자비 연구년을 확대하는 등 문턱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학생 모집난과 재정난을 겪는 사립대에서 주로 나타난다. 학교 재정이 어렵다 보니 정년트랙 교원 임용 자체가 줄어들면서 강의와 업무를 맡을 교수도 감소하고 연구년을 갈 여건도 되지 않는다. 한 사립대 교수는 “최근에는 퇴임 교수의 자리를 대부분 계약직인 비정년트랙 교원으로 채운다”며 “전체적으로 강의 부담이 커지고 있어 (연구년으로) 비우기가 어렵다”고 했다.

이미지 확대


교육부 등에 따르면 국내 사립대 전임교원은 매년 줄어 2021년 총 5만 401명에서 2024년 총 4만 7641명으로 2760(5.4%)명 감소했다. 반면 비전임교원은 같은 기간 6만 3097명에서 6만 9394명으로 늘면서 전체 교원 대비 비율이 59.3%까지 증가했다.

전임교원의 절대적인 수가 감소하면서 연구년 신청이 무의미한 경우도 있다. 대학들은 연구년을 받은 교수의 숫자를 전체 전임교원의 20분의 1, 또는 전공별 전임교원의 7분의 1 이하로 제한한다. 교수가 5명 안팎인 소규모 학과에서는 ‘눈치싸움’을 하거나 연구년 신청을 사실상 포기하는 이유다.

연구년을 떠난 교수를 대체할 시간강사 비용도 부담이다. 이 때문에 대체 인건비를 교수에게 분담하게 하는 대학도 있다. 강원 지역의 B사립대의 경우 ‘대체 강사의 강사료 일부를 안식년을 가는 교수에게 부담시킬 수 있다’고 규정한다. B대학 교수는 “한 달에 100만원 정도인데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자료조사 등 비용을 생각하면 감당하기 어렵다”며 “연구년 신청 자격이 있지만 안 할 생각”이라고 했다.

학교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비 연구년’을 늘리기도 한다. 광주의 C사립대는 교수에게 별도 연구비를 지급하지 않는 연구년 제도를 운영한다. 전임 교원의 5% 이내에서 선발하는 데다, 지원금 없이 월급만으로 연구를 해야하니 신청자가 많지 않다. C대학 교수는 “연구년을 가면 마이너스”라며 “계열별로 1~2명이고 전체로 봐도 몇 명 안 된다”고 전했다.

임정묵 서울대 교수회장은 “연구년이 축소되면 교수의 연구와 교육 역량 모두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 대학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송현주·김지예·반영윤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