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국토부 콜센터, 공무직 전환 후에도 높은 퇴사율...“1년도 못 버티고 나간다”

김주환 기자
수정 2025-10-05 16:56
입력 2025-10-04 16:52
26명 중 20명 퇴사…13명은 1년도 못채워
윤종군 “감정 노동자 보호 대책 마련 시급”

2022년 1월 민간위탁에서 공무직으로 전환된 국토교통부 민원콜센터가 인력 유출 문제를 겪고 있는 것으로 5일 파악됐다. 2022년부터 지난 8월까지 입사한 26명 중 20명이 퇴사했으며, 이 중 13명은 1년도 채우지 못하고 직장을 떠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종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 민원콜센터는 2022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총 20명의 상담직원이 퇴사했다. 이들 모두 근속기간 3년 미만의 저연차 직원이었다.
특히 퇴사자 20명 중 13명은 근속기간이 1년 미만으로 안정적인 민원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연도별 퇴사자는 2022년 4명, 2023년 7명, 2024년 6명, 올해 3명(8월 기준)으로 해마다 퇴사자가 발생했다.

상담원들은 지난해 총 25만 5176건의 민원 전화를 처리했는데 당시 근무 인원(29명)을 기준으로 1인당 연간 약 8800건에 가까운 상담을 진행했다.
이러한 과도한 업무량과 함께 상담원들이 폭언, 욕설 등 감정 노동에 노출된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국토부는 “폭언·욕설 사례가 일부 있으나 과거 녹취파일을 모두 재청취해야만 확인할 수 있어 자료 제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상담원 1인당 평균 병가사용일수는 2022년 3.02일, 2023년 2.05일, 2024년 4.73일, 올해 6.01일(8월 기준)로 조금씩 증가했다.
윤종군 의원은 “국토부 콜센터는 주택부터 건설, 교통, 항공 등 10개에 달하는 다양한 분야를 다루는 곳”이라며 “상담사들이 1년도 채우지 못하고 퇴사하는 상황에서는 양질의 민원 서비스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담사들에 대한 실질적인 처우 개선과 감정 노동자 보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주환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