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1%라도 ‘금’ 들어 있다면… 보물 품은 폐기물 찾기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반영윤 기자
수정 2025-10-16 00:59
입력 2025-10-16 00:59

천정부지 치솟는 ‘금값’ 진풍경

올해 한 돈 가격 47만→85만원 상승
도시광산업자, 컴퓨터 기판 등 수집
전자폐기물 1t서 금 150g 이상 추출
이미지 확대
12일 인천 중구 한국금거래소 영종도점에 전시된 골드바. 2025.10.12. 연합뉴스
12일 인천 중구 한국금거래소 영종도점에 전시된 골드바. 2025.10.12.
연합뉴스


“휴대전화 한 대에서 나오는 금은 티끌만큼이지만, 요즘 같은 때엔 폐기물이 아니라 노다지죠.”

휴대전화, 컴퓨터 등 폐전자제품 더미 속에서 금을 찾는 도시광산업체 대표 김모(55)씨는 15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폐전자제품에서 ‘기판’이라는 부품을 빼낸 뒤 산성 산화제 용액 등으로 각종 금속과 부산물을 제거하고, 약 1000도 이상의 열을 가하면 손톱만 한 금덩어리만 남는다”고 설명했다. 기판은 저항기, 콘덴서, 집적 회로(IC) 등을 모아놓은 부품인데, 여기에 도금이 얇게 입혀져 있는 경우가 많다. 버려진 휴대전화나 컴퓨터가 금값이 급등할 때마다 ‘도시 속 광맥’이 되는 셈이다.

하지만 폐전자제품에서 금을 캐내는 작업은 위험성이 크고, 진입장벽도 높다. 전자제품에서 금이 함유된 부품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고, 각종 화학 용액을 세심하게 다룰만한 지식과 기술이 있어야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모인 금은 99.9% 이상의 순도를 맞추기 위한 재공정을 마쳐야만 제값을 받을 수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 한 돈(3.75g) 가격은 올해 초 47만원에서 이날 기준으로 85만원까지 치솟았다. 금값 급등에 따라 소량의 금이 들어간 폐기물도 덩달아 귀한 대접을 받고 있다. 도시광산업계 관계자는 “공장이나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나온 폐전자제품은 경쟁 입찰로 거래되는데, 이 과정에서 금값이 반영된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폐전자제품이 실제 광산보다 금 함유량이 훨씬 높다고 말한다. 강홍윤 인하대 순환경제환경시스템전공 교수는 “폐전자제품 1t(스마트폰 5000대 정도)에서 150g 이상의 금이 추출된다”며 “약 1t의 광맥에선 금이 5g 정도만 나온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값이 오른다고 해서 수익이 급등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금속재자원산업협회 관계자는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규제하는 바젤협약과 국내 환경규제로 수입이 쉽지 않다”며 “국내에서 나오는 폐전자제품 물량이 한정돼 있기 때문에 금값이 올라가면 폐기물 가격도 함께 뛰어 수익이 무한정 늘어나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반영윤 기자
2025-10-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