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유학생도 “서울 취업 원해”…지역 정주 정책과 ‘온도차’

김지예 기자
수정 2025-11-20 13:43
입력 2025-11-20 13:43
10명 중 6명, 서울 취업 희망
“비수도권 어학원 진입한 후
서울 대학으로 편입학 많아”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계획한 외국인 유학생 10명 중 6명은 서울에서 일자리를 구하기를 희망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유학생 지역 정주와 산업 인력 확보에 초점을 둔 정부 정책 방향과 다른 결과로, 비수도권 정주 인구를 늘리기 위해 세밀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교육개발원(KEDI) 최정윤 선임연구위원은 20일 온라인 설명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통한 인구절벽 위기 극복의 가능성과 향후 과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해 기준 20만 8000명으로 2007년(4만 9000명)에 비해 4.2배 증가했다. 학위과정은 4.5배, 어학연수 등 비학위과정은 3.7배 늘었다. 특히 대학원 과정의 유학생 수는 코로나19 등 일부 기간을 제외하면 해마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비수도권 대학은 외국인 유학생 유입 효과를 온전히 누리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전체 유학생 중 수도권 소재 대학의 유학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4년제 대학·전문대·대학원에서 모두 증가했으나 비수도권 대학은 감소했다.
비수도권 대학 비학위과정 비중은 2014년 39.1%에서 지난해 45.0%로 올랐다. 이에 대해 최 연구위원은 “유학생이 늘어도 대학과 지역에 머무는 시간은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입학 문턱이 낮은 비수도권 대학의 어학 프로그램을 기착지로 활용한 뒤 서울권 대학에 편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했다.
유학생들은 취업 지역으로도 서울을 선호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할 계획이라고 밝힌 외국인 유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62%(196명)이 서울을 취업 희망 지역으로 꼽았다. 서울에서 공부하는 유학생 121명 중에선 5명을 제외한 116명이 서울 취업을 원했다. 다만 부산과 대구 등 대도시 유학생은 서울보다는 대학 소재지에서 취업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연구위원은 “서울은 일자리 기회가 많고 문화와 생활 인프라가 잘 갖추어진 점에서 유학생에게 매력적”이라며 “부산·대구 등 일부 지역을 보면 노동시장과 여건이 개선되면 지역 정주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김지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