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에 나타난 미기록 곤충, 절반 넘게 ‘열대·아열대성’

유승혁 기자
수정 2025-11-19 17:11
입력 2025-11-19 15:00
온난화로 생태계 변화… 제주·거제 등 남부 섬서 출현
지난 4년간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기록종이란 해외에는 이미 알려졌지만, 국내에서는 처음 발견된 종을 뜻한다.
19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섬 지역에서 확인된 미기록종 곤충은 45종이다. 이 중 25종(55.5%)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한국 기후에 적합한 온대·냉대성 곤충이었다.
열대·아열대성 곤충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에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에서는 자연적으로 발견되기 어렵다. 그러나 최근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이, 거제도에서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 등 5종이 발견되는 등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출현하고 있다.
곤충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고 이동성이 강해 환경 변화가 곧바로 분포에 반영된다. 이번 발견은 기후변화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한국의 평균 기온 상승으로 따뜻한 환경을 선호하는 곤충들이 점차 북상하고 있다는 의미다. 노승진 호남권생물자원관 동물자원연구부장은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섬 지역은 외래 생물이 한국에 처음 유입되는 관문이자 내륙으로 퍼지는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섬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생태계 변화를 가장 먼저 보여주는 지표가 된다. 호남권생물자원관은 미기록종 곤충 45종 중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올렸으며 나머지 종들도 학술논문 발표 후 목록에 추가할 계획이다.
세종 유승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