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뉴스페이스’ 첫걸음… 누리호, 새벽 하늘로 솟구친다

유용하 기자
수정 2025-11-20 00:51
입력 2025-11-20 00:51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서 27일 누리호 4차 발사
첫 야간 발사… 오로라 관측 임무3차 때보다 위성 중량도 2배 증가
민간기업 품질·제작 등 총괄 맡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일주일 뒤인 오는 27일 새벽 1시 4분(±10분)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는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지축을 울리는 굉음과 함께 차가운 새벽 공기를 가르며 힘차게 우주로 솟구친다. 2021년 10월 21일 첫 발사 이후 네 번째 발사이며, 2023년 5월 25일 처음 실전 임무 위성을 싣고 발사된 지 2년 반 만이다.
이번 누리호 4차 발사는 이전 발사와는 몇 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가장 큰 차이는 첫 야간 발사라는 점이다. 2008년 8월, 2010년 6월, 2013년 1월 세 차례 쏘아 올려진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와 2021년 10월, 2022년 6월, 2023년 5월 세 차례 발사된 누리호 모두 오후 4~7시 사이에 발사됐다. 이번 새벽 발사는 누리호에 실리는 주(主)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오로라 관측 임무 때문이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목표 고도인 600㎞ 태양 동기 궤도에서 지구 오로라와 대기광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태양 간섭이 적은 시간에 임무를 시작해야 한다. 오로라 관측 최적 장소에 자리잡기 위해서는 발사 시간으로 새벽 1시 전후가 적당하다는 것이다.
3차 발사 때 실린 위성은 총 8기로 위성부 총중량이 약 500㎏이었지만, 이번에는 총 13기가 실리고 위성부 중량도 3차 때보다 약 2배 증가한 960㎏에 달한다. 탑재되는 큐브 위성 12개 각각의 무게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주탑재 위성의 무게가 2.8배 정도 늘었다. 3차 발사 때 실린 차세대소형위성 2호는 180㎏이었지만, 4차에 실리는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516㎏에 이른다. 1차 발사 때는 1.5t의 위성 모사체, 2차 발사 때도 1.3t의 위성 모사체와 성능 검증 위성이 실리기는 했지만 4차에는 실제 임무에 나서는 위성을 실은 채 가장 무거운 몸으로 우주를 향한다.
이번 4차 발사의 또 하나 특징은 대한민국 ‘뉴스페이스’의 첫걸음이라는 점이다. 나로호와 누리호 1~3차 발사 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발사 운용은 물론 제작까지 주관했다. 하지만 4차 발사부터는 민간 우주기업에서 제작한 발사체를 항우연이 인수해 발사하는 방식이다. 민간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누리호 4기 제작을 총괄 주관하고 협력업체의 품질 관리·감독을 하는 한편 발사지휘센터(MDC), 발사관제센터(LCC)의 발사 운용에도 참여하는 등 사실상 발사를 총괄하게 된다. 6차 발사까지 계획돼 있는 누리호는 이번 발사를 시작으로 민간기업의 비중을 점점 높여 가고, 이후 발사체 발사 관련 모든 임무를 민간으로 완전히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누리호는 오는 25일 조립동에서 나와 1.8㎞ 떨어져 있는 발사대로 이동한 뒤 도착 후에는 기립 작업이 진행된다. 기립된 누리호는 연료와 산화제를 공급해 주는 엄빌리컬 타워에 연결되고, 발사 전날인 26일에는 추진체 충전 점검과 헬륨 충전 등 발사 운용이 시작된다.
발사관리위원회는 누리호의 최종 발사 시간을 발사 당일 기상 상황과 우주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우주 환경 분석 결과 등을 고려해 최종 확정한다.
유용하 과학전문기자
2025-11-2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