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김선형 쐐기 3점 포효, 문경은 감독 1800일 만에 단독 1위…“슛 성공률 올라갈 일만”

서진솔 기자
수정 2025-10-09 16:47
입력 2025-10-09 16:47


프로농구 수원 kt의 문경은 감독이 친정 서울 SK에 대패했던 분위기를 반전시키면서 1800일 만에 사령탑으로 리그 단독 1위에 올랐다. 조력자는 경기 종료 27초 전 결정적인 3점으로 승리를 확정한 ‘플래시 썬’ 김선형이었다.
kt는 9일 수원 케이티아레나에서 열린 2025~26 프로농구 정규시즌 서울 삼성과의 홈 경기에서 74-66으로 이겼다. 지난 5일 SK 원정에서 40점 차로 무너졌던 kt는 이틀 전 울산 현대모비스전(74-73 승)에 이어 2연승을 달렸다. 올여름 kt 지휘봉을 잡은 문 감독은 SK 사령탑 시절이던 2020년 11월 4일 이후 5년 만에 단독 1위(3승1패)에 등극했다. 삼성은 공동 7위(1승2패)다.
kt는 이날도 약점인 3점슛이 성공률 29.6%(27개 중 8개)에 머물렀으나 리바운드에서 39-28로 앞섰다. 아이재아 힉스가 팀 내 최다 22점 11리바운드, ‘헐크’ 하윤기가 10점 11리바운드로 골밑을 지켰다. 문 감독이 kt에 합류하며 SK에서 데려온 ‘애제자’ 김선형은 3점 3개 포함 18점 5도움으로 공격을 이끌었다.
문 감독은 경기 뒤 “3점이 계속 고민이다. 오늘은 리바운드와 수비에 집중했고 상대 슛 성공률을 33% 이하로 낮춰 승리했다. 슛을 한두 개만 더 넣으면 80점 이상 올릴 수 있다”고 자평했다. 또 “3쿼터에 수비에서 성공한 다음 속공으로 분위기를 살렸고 4쿼터 박준영(8점)의 3점 두 방으로 승기를 가져왔다. 문성곤(3점)은 이대성을 전담 수비하며 앤드류 니콜슨까지 막았다”고 선수들을 칭찬했다.

공격리바운드에서 6-11로 밀린 삼성은 지난 4일 대구 한국가스공사전에서 59%(32개 중 19개)에 달했던 3점 성공률도 29.6%(27개 중 8개)로 떨어졌다. 케렘 칸터가 18점 11리바운드, 저스틴 구탕이 14점으로 분전했지만 간판 가드 이대성이 31분 넘게 뛰며 7점 5도움에 그친 게 아쉬웠다. 1옵션 외국인 니콜슨도 20분 동안 8점에 머물렀다.
김효범 삼성 감독은 “오펜스 리바운드에서 승부가 갈렸다. 제 경기 운영 능력이 부족했다”며 “이대성의 공격 지분 등은 저의 과제다. 빅맨 이원석이 돌아오면 높이 싸움이 가능하고 니콜슨의 공격력도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쿼터 힉스가 3점으로 포문을 열었다. 삼성은 니콜슨에 대한 상대 더블팀 수비를 틈타 최성모가 미들슛을 넣었지만 리바운드를 잡지 못해 김선형에게 코너 3점을 맞았다. 김선형은 속공 레이업에 외곽포를 더하며 기세를 높였다. 이대성, 최현민이 양 코너에서 3점으로 맞불을 놓은 삼성은 칸터가 벤치에서 나와 연속 7점을 몰아치면서 1쿼터 20-18로 역전했다.
2쿼터엔 하윤기가 베이스 라인에서 2점슛을 넣었고 힉스가 원맨 속공을 펼쳤다. 삼성이 이근휘의 3점으로 반격했으나 하윤기에게 공격리바운드를 빼앗긴 다음 힉스에게 덩크를 얻어맞았다. 또 이대성이 작전 시간 직후 실책을 범하면서 문성곤에게 3점을 허용했다. 이에 이근휘가 스스로 외곽 기회를 살려 분위기를 바꿨고 이대성이 드리블과 패스로 저스틴 구탕의 3점을 도왔다. kt는 하윤기가 다시 공격리바운드에 이은 골밑슛을 넣으며 전반을 2점 앞섰다.

3쿼터 시작과 함께 최성모가 4번째 반칙을 범하며 벤치로 물러났다. 어수선한 상황에서 힉스가 3점을 터트렸고 김선형이 속공을 주도했다. 반면 이관희의 슛이 계속 림을 외면했다. kt는 하윤기, 문정현의 하이로우 게임으로 10점 차 이상 달아났으나 이대성과 구탕에게 연속 3점을 맞았다. 칸터가 골밑에서 점수를 쌓은 삼성은 김선형과 힉스의 2대2를 막지 못해 3쿼터를 8점 뒤진 채 끝냈다.
4쿼터 추격을 알린 건 삼성 최성모의 3점이었다. 조엘 카굴랑안의 돌파, 박준영의 슈팅으로 kt가 다시 간격을 벌렸으나 4쿼터 종료 5분 55초를 남기고 하윤기가 5반칙 퇴장당했다. 삼성은 구탕의 미들슛으로 반격했는데 이후 칸터, 최현민이 실책을 저질렀다. kt는 슛 정확도가 떨어진 아쉬움을 문정현의 공격리바운드, 데릭 윌리엄스의 개인기로 메웠다. 문성곤도 공격리바운드를 사수했고 김선형이 종료 27.7초 전 7점 차로 달아나는 외곽포를 터트린 뒤 포효했다.
수원 서진솔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