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통화량 56조원 늘어 4400조원 돌파…17개월 만에 최대폭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수정 2025-10-15 16:47
입력 2025-10-15 16:47
이미지 확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화폐수납장에서 관계자들이 추석 화폐 공급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화폐수납장에서 관계자들이 추석 화폐 공급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예적금, 채권형 수익증권 등에 자금이 몰려 8월 시중 통화량이 56조원 가까이 늘었다. 잔액은 4400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8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8월 광의통화(M2) 평균잔액은 전월보다 55조 8000억원(1.3%) 늘어난 4400조 2000억원을 기록했다. 증가율과 증가폭 모두 지난해 3월(1.5%·58조4천억원) 이후 17개월 만에 최대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이들 금융상품 가운데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수익증권, 정기 예·적금이 한 달 사이 각 14조 3000억원, 12조 8000억원, 8조 3000억원 불었다.

한은 관계자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의 경우 지방정부 재정집행 자금 일시 예치와 투자 대기성 자금 유입으로 늘었고, 정기 예·적금은 일부 은행의 예대율 관리 목적의 예금 유치 등으로 증가했다”며 “수익증권도 채권형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이어갔다”고 설명했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25조9천억원)과 가계·비영리단체(+16조9천억원), 기타금융기관(+10조4천억원) 등에서 유동성이 늘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312조 8000억원)도 전월보다 1.5%(19조 9000억원) 증가했다.

황비웅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