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촌인의 최대 고민은 경제…“초기 3년간 집중 관리해야”[사라진 인구, 다시 채우는 미래]

이종익 기자
수정 2025-10-15 18:30
입력 2025-10-15 18:30
강원 인구포럼
송근석 귀농·귀촌종합센터장
농업보다 삶의 질 찾아서 귀촌 데이터 통한 맞춤형 지원 중요“강원도는 이제 농사보다 새로운 삶을 찾으려는 사람들이 모이는 곳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착 초기에 겪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도시로 돌아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맞춤형 지원과 3년간의 집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송근석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귀농·귀촌종합센터장은 15일 강원도청에서 열린 ‘2025 서울신문 강원 인구포럼’에서 이같이 말하며 “이제는 농업이 아닌 ‘생활형 귀촌’ 시대에 맞는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24년 강원도의 귀농 가구 수는 535가구로 전년(698가구)보다 23.4% 감소했다. 반면 귀촌 가구는 1만 9951가구로 3.1% 증가했다.
귀농은 줄었지만 귀촌은 꾸준히 늘면서 인구 이동의 축이 ‘농업 중심’에서 ‘삶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는 분석이다.
귀촌인의 평균 연령은 43.1세로, 30대 이하가 46.9%로 가장 많았다. 40~60대도 44.3%에 달해 세대 간 폭이 넓다. 송 센터장은 “농사를 짓기 위해서만 강원도를 찾는 게 아니라 삶의 질을 높이려는 선택이 늘고 있다”며 “정책 방향도 생계형 농업 지원을 넘어 생활 기반을 강화하는 쪽으로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귀촌인의 최대 고민은 경제적 안정이다. 귀농·귀촌 플랫폼 ‘그린대로’ 회원 10만여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1.2%는 5년 이상 장기 정착 의향을 보였지만, 장애 요인으로 88%가 경제 문제를 꼽았다. 농지 구매(31.4%), 자금 부족(23.1%), 주거 문제(11.4%) 순이었다.
송 센터장은 “단순히 귀촌을 유도하는 수준을 넘어 지역에 뿌리내릴 수 있는 구조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임대주택 확대·빈집 리모델링·교통·의료 인프라 개선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그는 이번 포럼을 앞두고 ‘그린대로’ 회원 중 강원도 이주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별도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응답자들은 강원도를 선택한 이유로 청정한 자연환경(45.8%)과 수도권 접근성(28.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송 센터장은 “이 같은 강점을 살려 수도권 인접 지역에 정착 특화 존을 조성하고 임대 농지와 주거단지를 함께 묶는 전략이 필요하다”며 “단순 보조금보다 데이터 기반의 개인 맞춤형 지원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끝으로 “생활형 귀촌은 단순한 인구 유입이 아니라 지역소멸을 막는 새로운 인구 전략의 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춘천 이종익 기자
2025-10-1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