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새 25% 증발한 비트코인…‘희소성’ 만으론 안 통한다? [재테크+]

김성은 기자
수정 2025-11-18 18:12
입력 2025-11-18 18:12
트럼프 랠리 후 190억달러 청산 사태
최고가 후 25% 급락…기관 매집 계속
“희소성 높아졌지만 즉각 반등 어려워”
승승장구하던 비트코인이 약세장에 빠졌습니다. 사상 최고치에서 한 달 만에 무려 25% 이상 폭락했죠. 흥미로운 건 타이밍입니다. 전체 발행량의 95%가 채굴되며 희소성이 극대화되는 시점과 맞물렸기 때문이죠.
시장 일각에선 “반등 신호”라는 기대감이 번집니다. 하지만 폭락의 충격이 가시지 않은 지금, 희소성만으로는 가격 반등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최고점서 25% 추락…약세장 진입 공식화시총 1위 가상화폐 비트코인은 18일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서 9만 340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장 중 한때 8만 9000달러대로 내려앉았다가 그나마 반등한 가격이죠. 지난달 사상 최고치인 12만 6000달러를 넘어섰던 것과 비교하면 한 달 새 25% 이상 폭락했습니다. 고점 대비 20% 이상 빠지면서 비트코인은 본격적인 약세장에 접어들었습니다.
투자 전문 매체 인베스토피아는 “가상화폐 시장이 성공적인 한 해를 맞을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제는 실패로 돌아간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친(親) 가상화폐 성향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된 뒤 시장은 들썩였습니다.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관련 규제 완화에 나서고 스테이블코인 법안까지 통과되자 가상화폐 시장은 환호했습니다. 강세론자들의 표현을 빌리면 그야말로 가격이 하늘을 찔렀죠.
하지만 상황은 이제 정반대로 흘러가는 양상입니다. 10월 가상화폐 업계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청산 사태를 겪었습니다. 빌린 돈으로 비트코인에 투자한 사람들이 강제 청산당하며 190억 달러(약 28조원) 규모의 포지션이 정리됐고, 이는 비트코인 가격을 더욱 끌어내렸습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1조 2000억원 추가 매수일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대량 보유한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지난주 움직임을 보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데요. 이 회사는 지난 10일부터 16일까지 비트코인 8178개를 추가로 매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총매수 금액은 8억 3500만 달러(1조 2241억원)가 조금 넘습니다.
이로써 마이크로스트래티지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총 64만 9870개로 늘어났습니다. 현재 가치로 따지면 약 600억 달러(약 88조원)에 달합니다. 회사는 우선주 공모를 통해 이번 매수 자금을 마련했죠.
일각에서는 비트코인 채굴량이 전체 발행 한도인 2100만개의 95%를 넘어서면서 희소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제 채굴 가능한 비트코인은 205만개만 남았습니다.
가상화폐 거래소 크라켄의 이코노미스트 토머스 퍼퓨모는 공급 증가율이 0.8% 수준까지 떨어졌다며, 비트코인의 가장 중요한 가치 기반으로 ‘희소성’을 꼽았죠.
“희소성만으론 반등 어려워”…전문가들 신중론다만 희소성만으로 가격이 즉각 반등하지는 않을 거란 전망입니다. 퍼퓨모는 “비트코인이 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인정받으려면 희소성을 넘어 시장의 확고한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희소성 강화는 상징적 의미일 뿐, 즉각적인 가격 상승 동력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블록체인 분석 업체 난센의 제이크 케니스 수석 애널리스트는 “반감기로 인해 남은 비트코인 5%를 채굴하기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95%라는 숫자보다는 장기 보유자와 기관의 매집이 가격에 더 결정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비트코인 분석 플랫폼 비트보에 따르면 비트코인 전체 공급량의 17%가량을 기업과 국가가 보유 중입니다. 현재로선 가격 급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비트코인의 ‘디지털 금’ 지위가 강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읽힙니다.
김성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