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체포영장’ 푸틴 APEC 초청…입국하면 수갑?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수정 2025-09-22 16:44
입력 2025-09-22 15:56
이미지 확대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 하기위해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회담을 가졌다고 4일 보도했다.2025.9.4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참석 하기위해 중국을 방문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일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회담을 가졌다고 4일 보도했다.2025.9.4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을 결정지은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서 지난 7월 15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20개 APEC 회원 정상들에게 금년도 정상회의가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대한민국 경주에서 개최될 예정임을 알리며 회원들을 초청하겠다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했다”라고 밝혔다.

APEC 회원국인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도 초청장을 발송했다는 사실을 우회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푸틴 대통령이 회의에 참석할 경우,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무대에 제한적으로 나선 그가 다시 모습을 드러내는 셈이 된다.

다만 푸틴 대통령의 경주행(行) 가능성은 작다.

국제형사재판소(ICC)는 우크라이나 전쟁 범죄 혐의로 푸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했는데, 한국도 ICC 회원국이라 푸틴 대통령 입국 시 체포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푸틴 체포 여부’에 대해 “매우 큰 가정이 있는 질문이라서 답변드리지 않겠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11일 푸틴 대통령의 APEC 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에 대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라고 답한 바 있다.

김 위원장도 불참할 전망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17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APEC 참석 및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 가능성에 대해 “크다고 말하기 어렵다.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라고 답했다.

권윤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