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온열질환자 벌써 작년 추월…‘최악 폭염’ 2018년 후 최다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수정 2025-08-22 14:57
입력 2025-08-22 14:57

감시체계 운영 이래 두번째로 큰 규모

이미지 확대
(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 절기상 처서를 하루 앞두고 폭염이 찾아온 2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바닥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2025.8.22/뉴스1
(서울=뉴스1) 김도우 기자 = 절기상 처서를 하루 앞두고 폭염이 찾아온 22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바닥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2025.8.22/뉴스1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3815명으로 집계돼 지난해 전체 환자 수를 넘어섰다. 역대 최악의 폭염으로 꼽히는 2018년 다음으로 많은 수치다.

질병관리청이 22일 발표한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전날까지 열탈진·열사병 등으로 응급실을 찾은 사람은 3815명(사망 23명 포함)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3004명)보다 1.26배 늘었고, 지난해 전체 환자 수(3704명)보다도 많다.

폭염이 극심했던 2018년 같은 기간(4393명)에는 못 미쳤지만, 감시체계를 운영한 이래 두 번째로 큰 규모다. 2018년은 5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집계된 온열질환자 수가 4526명이었다.

“33도 넘으면 기온 1도당 환자 51명↑”
이미지 확대
그늘 아니면 양산
그늘 아니면 양산 (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 절기상 ‘처서’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전히 찜통 더위가 이어진 21일 오후 서울 광화문네거리에서 시민들이 횡단보도 앞 그늘막 아래 모여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폭염특보가 해소되기는커녕 폭염경보로 격상되는 지역들이 늘면서, 당분간 무더위는 지속될 전망이다. 2025.8.21/뉴스1


질병청이 최근 11년간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와 일 최고기온을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에 따라 온열질환 발생에 구간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온열질환자는 일 최고기온 27.7~31도 구간에서 약 7.4명, 31.1~33.2도 구간에서는 약 22명 증가했다.

특히 일 최고기온이 33.3도 이상이면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온열질환자가 약 51명 발생하는 등 급격한 증가세를 보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도 낮 최고기온은 30~37도에 이르는 등 전국 곳곳에서 무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예보된 상태다.

더운 환경에서 두통이나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물을 마시고 시원한 그늘 등으로 이동해 휴식을 취해야 한다.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의식이 사라질 경우 주위의 도움을 받아 신속히 병원에 방문해 조치해야 한다.

한지은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