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청도사고’ 두 달 전 코레일, 철도공단에 안전사고 조치 공문

박승기 기자
수정 2025-10-21 13:22
입력 2025-10-21 13:22
1340개 시설 개량 필요, 보행로 확보 1265개
사고 구간도 보행로 확보 필요한 구간에 포함
지난 8월 19일 작업자 2명이 숨지고 5명이 다친 경북 청도군 경부선 열차 사고가 있기 전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사고 구간의 작업자 이동로 폭이 좁아 위험하다는 우려를 국가철도공단(철도공단)에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코레일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레일은 5월 29일 철도공단에 ‘작업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 시설 개량 사업 반영 협조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전국 1340개 철도 구간에서 작업자의 대피 공간이 부족하거나 안전 난간이 부실해 추락 사고가 우려된다고 적시했다.
총 1340개 중 보행로 확보가 필요 구간이 1265개, 안전난간 보강 구간이 75개였다. 보행로 확보가 필요한 구간 중 822개는 노반 폭이 좁다고 지적했다. 선로 작업하는 근로자는 공간이 좁으면 노반으로 이동하고 열차가 접근할 때 대피 공간이기도 하다.
노반 폭이 부족한 구간에는 열차 사고가 발생한 청도군 남성현역∼청도역 구간도 포함됐다.
청도 사고로 다친 작업자도 경찰에서 “선로 바깥쪽으로 이동하다가 비탈면으로 인해 좁아지는 구간이 있어 선로 위로 이동하게 됐다”, “사고 지점에 수풀이 우거져 시야가 가려졌고 대피 공간이 없었다”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신속하게 시설 개선이 이뤄졌다면 인명 피해로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이 의원은 “열차가 운행 중에 이뤄지는 상례 작업은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보행통로와 대피 공간 확보 등이 필요하다”며 “코레일과 철도공단은 역할과 책임을 따지지 않고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전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