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은행 덕에 ‘대농’으로 첫발”

강동용 기자
수정 2025-09-05 01:25
입력 2025-09-05 01:25
포천의 ‘진지한 농부’ 문진성씨
조선사·인테리어 회사원서 변신“농지 값싸게 빌려 초기 부담 덜어
‘선임대·후매도’로 내 땅 꿈 키워”

본인 제공
“농지은행이 아니었으면 농사에 발을 들이기도 어려웠을 거예요.”
경기 포천에서 애호박과 콩 농사를 짓는 청년 창업농 문진성(32)씨는 4일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지은행 역할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대형 조선사와 인테리어 회사, 보안업계에서 일하다가 2년 전 농업에 종사하는 이모부의 권유로 농업에 눈을 떴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 청년 창업농에 선정된 뒤 포천시 환경농업대학에서 영농 지식을 쌓았다. 문씨는 “공공임대용 농지매입 사업에 선정돼 4000평(약 1만 3000㎡) 규모의 농지를 빌려 지난해 6월부터 본격적으로 농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처음부터 대규모 온실을 지을 수 있었던 것은 농지은행 덕분이었다. 문씨는 “대규모의 농지를 1년에 70만원 남짓한 돈으로 빌리는 건 말도 안 되게 저렴한 수준”이라면서 “농지를 값싸게 빌렸기 때문에 공공임대 농지에 비닐하우스를 13동을 지어 올리고 독립 영농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농지은행 덕에 비닐하우스를 짓는 데 자금을 집중해 첫해부터 대규모로 시작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그가 이용 중인 농지은행의 ‘공공임대용 농지매입사업’은 농어촌공사가 매입·비축한 농지를 시세 이하 임대료로 장기 임대하고, 대상·작목 등에 따라 임대료를 최대 80%까지 감면해 청년농의 초기 부담을 덜어내는 제도다.
농지은행은 안정적인 영농 정착을 위한 버팀목이기도 했다. 문씨는 “농지를 찾는 ‘중간다리’ 역할도 중요했다”면서 “농지은행이 아니었으면 내가 농지를 빌린 지역은 원래 이런 농지가 있는지도 알기도 어려웠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내가 소유한 농지가 아니라서 흙을 쌓아 올리는 성토와 지하수 관정을 뚫는 게 모두 허가가 필요했는데 농어촌공사 직원들이 방법을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모든 절차가 신속하고 수월하게 진행됐다”고 했다.
새로운 도전도 꿈꾸고 있다. 문씨는 “생강 농사에 도전해 제가 직접 수확한 생강으로 브랜드를 일구고 싶다”면서 “생강꽃을 보기가 굉장히 힘든 편인데 내 농장에 생강꽃이 핀 모습을 보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포천시 환경농업대학원 과정에 다니면서 ‘진지한 농부’라는 자체 상표와 로고를 만들었다.
‘내 땅 마련’을 위해 농지은행의 ‘선임대-후매도 사업’의 문도 두드릴 예정이다. 영농 기반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 39세 이하 청년 농업인이 희망하는 농지를 공사가 먼저 매입한 뒤 해당 농지를 청년농에게 빌려주는 사업이다. 임대 기간은 최장 30년이고 그 안에 원리금 상환이 마무리되면 청년농에게 소유권을 이전한다.
문씨는 “농지를 한 번에 사려면 수억원이 들어서 쉽지 않은데 이 사업을 활용하면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을 것”이라면서 “내년 이 사업에 신청해 하루빨리 내 농지를 확보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세종 강동용 기자
2025-09-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