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님 밥맛 잡았던 진상품 대표 쌀
강남주 기자
수정 2025-10-28 00:17
입력 2025-10-28 00:17
경기 김포시
자광미
김포시 제공
임금님 진상미인 ‘자광미’가 300년 전 원조 재배 지역인 경기 김포에서 상품으로 출시된다. 자광미 복원은 김병수 김포시장의 김포 정체성 찾기 정책의 하나로 현재 애기봉 자락 아랫마을에서 재배 중이다.
올해 300세트 한정판으로 출시되는 이 상품은 자색을 띤 자광미 현미와 분홍색의 자광미 백미, 김포한가득쌀 백미로 구성된다. 자광미 특유의 색감을 살려 도정에 따라 보라색과 분홍색 쌀로 즐길 수 있는 이 상품은 1인분씩 소포장돼 간편하고 깔끔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김포시는 자광미를 복원하면서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을 통해 자광미의 기능성 유효성분으로 안토시아닌과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유량을 확인했다. 일반 현미와 비교했을 때 자광미 현미는 안토시아닌이 무려 39배 많고 총폴리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가 4배가량 많았다.
안토시아닌은 항산화와 노화 방지 효력의 대표적 성분으로 피부와 눈 건강에 도움을 주고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총폴리페놀은 항암과 항산화 효과, 총플라보노이드는 노화를 유발하는 활성산소 억제 효과로 잘 알려졌다.
자광미는 예로부터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어지럼증과 요통, 팔다리 무력감, 목이 붓고 아픈 증상, 입안이 허는 증상 등에 효과(본초강목, 1596, 이시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특별한 쌀이다. 김포는 산림경제(1682, 홍만선) 및 농가월령가(1843, 고상안) 등 옛 문헌에서 밀다리가 언급됐는데 밀다리는 현재 김포 통진 지역으로 자광미의 원조가 김포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처럼 재배 유래가 문헌기록에 있는 가장 오래된 벼 품종으로 김포에서 처음 재배됐으나 맥이 끊어졌다가 민선 8기 들어 복원됐다.
김 시장은 “이번 자광미를 시작으로 김포쌀이 대표적인 K푸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강남주 기자
2025-10-28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