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이나 증오 없이도 관성적으로 발사되는 총/폭파되는 땅이 있다”(주민현, ‘슬픔은 냉하고 부드러운 천’)
2025년 여름은 내 생애 가장 더운 계절로 기억될 것 같다. 더위만큼이나 비도 자주 쏟아져서 우산을 늘 가방에 넣고 다녀야 했다. 광역버스를 타기 위해 길게 늘어선 사람들은 갑작스러운 비에 일제히 우산을 꺼내 들고는 한다. 줄의 간격과 우산 폭이 맞지 않아 서로의 우산이 조금씩 겹치고 부딪히게 된다. 그 겹침 사이에 사람의 마음이 있고, 매너가 있고, 인격이 있다. 어떤 사람은 조금만 부딪혀도 신경질적으로 반응하고, 또 다른 사람은 남을 불편하게 할까 봐 조심스레 자기 단속을 한다. 누군가는 한걸음 물러서고, 또 누군가는 그 빈틈을 노린다.
비를 피하는 짧은 순간에도 사람들의 태도는 이렇게 다르다. 서로 얼마간 겹치거나 부딪힐 수밖에 없는 상황 속에서 자연스러움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존재인가. 관성적인 무관심이나 과도한 불쾌감의 표출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우산이 없는 학생을 씌워 줄까 말까 망설이다가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마음이 어두워졌다. 우산 끝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바라보다가 최근 일련의 사건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타인에 대한 혐오의 감정을 일상적으로 쉽게 드러내는가 하면 범죄로 치닫는 경우도 늘고 있다. 계층과 세대, 성별의 차이를 두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정치적 대립의 골마저 깊어졌다. 세계적으로도 전쟁과 테러가 계속되고 있다. 이민족에 대한 배타성을 공식적으로 천명하는 지도자를 우리 세기에 또다시 대면하게 되었다. 백인 중산층 남성의 이권에 맞춰진 인간의 세계란 얼마나 비루하고 협소한가. 공동선에 무관심한 채 자신의 잇속만 챙기는 거대한 욕망은 자본주의의 산물이다. 내가 타인을 배척하는 그 이유가 내가 배척당할 근거와 같다. 우산을 받쳐 쓰는 일이 나만의 감옥이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환대란 타인에게 자리를 내주고 그의 존재를 인정하는 행위이다. 조건과 대가를 전제로 하지 않는 선의와 정성이다. 종교나 철학의 영역을 넘어 환대는 인간으로서 다른 이와 더불어 살아가는 기본 태도가 되어야 한다. 타인과의 거리와 겹침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함께 살아갈 수 없다. 우리는 모두 조금씩 다르고, 그 다름은 존중되어 마땅하다.
다른 사람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일이 왜 그리 어려운 것일까. 더불어 사는 기쁨을 경쟁보다 먼저 배운다면 좀 나아질까. 혼자 자라는 아이들이 많아지면서 관계 맺기를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교육 현장에서 자주 마주한다. 과도한 경쟁 사회에서 다른 사람과 끊임없이 비교당하는 것은 피곤하고 소모적이다. 서로 소통하고 교류하면서 인간은 성숙해진다. 우산 끝에서 떨어지는 빗물처럼 우리의 삶도 서로의 경계를 스치며 흘러간다. 그 겹침 속에서 서로의 자리를 헤아리는 일, 그것이 환대의 시작이며 함께 성장하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