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밤송이

  • 기사 소리로 듣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공유하기
  • 댓글
    0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수정 2025-10-22 01:06
입력 2025-10-22 00:42
이미지 확대


가을 뒷산, 발끝에 온갖 열매들이 굴러다닌다. 코를 찌르는 은행 냄새를 지나면 도토리가 지천이고 이름 모를 열매들이 낙엽 사이로 숨바꼭질한다. 이 수많은 열매 중 밤송이만큼 애증의 존재가 없다.

반쯤 벌어진 입으로 통통한 알밤을 살짝 내보이는 밤송이라면 슬쩍 보고 그냥 지나칠 자신이 있다. 이미 제 할 일을 다한 듯 의젓한 모습에 잠시 미소 짓는다. 그러나 꽁꽁 닫힌 채 가시를 곤두세운 놈들을 보면 발가락이 근질근질해진다. 꼭 한 번 발로 차 건드려 본다. 저 안에 밤이 들었을까, 빈 밤송이일까 살짝 눌러 밟으며 확인한다. 뒤집었는데 밤을 발견하면 더욱 호전적으로 밤송이를 지르밟는다.

윤기가 좔좔 흐르는 알밤 두세 개. 사냥이 끝난 이 녀석들을 어떻게 할지 도덕적 시험대에 오른다. 주머니에 몇 개 담아갈까. 아니면 그 자리에서 깨물어 떫은 맛이라도 볼까. 잠깐, 이 산의 밤나무와 떨어진 밤에도 주인이 있을지 모르는데. 짓이겨 놓고 나서야 드는 생각, 늦어도 너무 늦은 반성이다.

가을 산의 풍요는 이렇게 양심을 시험에 들게 한다.

홍희경 논설위원
2025-10-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에디터 추천 인기 기사
많이 본 뉴스
닫기
원본 이미지입니다.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대해 보세요.
닫기